반응형
Lombok
코드를 절약하기위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메서드 / 생성자 / 게터 / 세터등을 자동생성해준다.
자동적으로 코드를생성해주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지고 절약할수있다.
사용방법은 @이노테이션을 붙여사용하면된다..
@Getter // 필드의 게터를 생성해준다.
@Setter // 필드의 세터를 생성해준다.
@AllArgsConstructor //모든 필드의 생성자를 만든다.
@NoArgsConstructor //기본 생성자를 만든다.
@RequiredArgsConstructor // final 이달린 플드드만 생성자를 만든다.
등등 추가로 더있지만 현재 내가 강의에서 사용하는것은 위의 명령어를 자주사용한다고 한다.

application.properties
Spring과 관련된 설정을 할때 사용되는 파일이다.
Springboot에서 자동설정된 설정값을 쉽게 수정할수있다.
DB 정보를 제공할때 쉽게 값을 전달할수있다.
서버의 포트도 변경이 가능하다.
기본 포트는 8080이다.
여기에 server.port=8081로 적어주면 포트는 8081로 변경 된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Spring의 Controller (0) | 2023.11.03 |
|---|---|
| [TIL] Spring MVC (0) | 2023.11.02 |
| [TIL] Gradle, 서버, HTTP (1) | 2023.11.01 |
| [TIL] 팀과제 키오스크 만들기 문제점(2023.10.30) (2) | 2023.10.31 |
| [JAVA] Interface의 다형성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