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레이들 Gradle
Gradle
빌드 자동화 시스템
우리가 작성한 Java코드를 실행 결과물로 만들어주는 과정
jar파일로 만들어줌
build.gradle
Gradle 기반의 빌드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들의 의존성을 쉽게 관리할수있다!
- 충돌걱정 NO 개발에만 집중!
groovy 혹은 kotlin 언어로 스크립트를 작성할수있다!
SpringBoot의 버전을 변경이 가능하다!
서버
네트워크는 여러대의 컴퓨터 또는 장비들이 연결되어 정보를주고받는 기술이다.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 웨이등의 정보를 성정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Client(브라우저)에서 요청(request)하여 서버(server)로보내에 서버에서는 반환값(response)를 돌려준다.
이때 IP주소로 정보를 전달한다.
웹서버는 HTTP를 이용하여 일종의 컴퓨터 (이메일,SNS에서 사용된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을 정의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두개의 시스템, 장치사이에서 정보나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 (리모컨 같은것)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REST)는 API 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입니다.
HTTP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규약
HTTP status code
- 1xx (Informational)
- 1xx 상태 코드는 요청이 수신 되었으며 처리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주로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2xx (Successful)
- 2xx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태 코드는 200입니다.
- 이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 되었으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가 서버에서 제공됨을 의미합니다.
- 3xx (Redirection)
- 3xx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추가적인 조치를 취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 이 상태 코드는 주로 페이지 이동, 리다이렉션 등에 사용됩니다.
- 4xx (Client Error)
- 4xx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 이 상태 코드는 주로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 인증 오류 등에 사용됩니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태 코드는 404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페이지나 리소스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 5xx (Server Error)
- 5xx 상태 코드는 서버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 이 상태 코드는 주로 서버의 오류, 서버 과부하 등에 사용됩니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태 코드는 500입니다. 이는 서버 내부 오류가 발생함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Spring MVC (0) | 2023.11.02 |
|---|---|
| [TIL]Lombok과 application.properties (0) | 2023.11.02 |
| [TIL] 팀과제 키오스크 만들기 문제점(2023.10.30) (2) | 2023.10.31 |
| [JAVA] Interface의 다형성 (0) | 2023.10.31 |
| [TIL] 키오스크만들기 (2023/10/20)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