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배운 것은 조건문 if이다.
엑셀의 if문과 매우 유사하다.
조건문 - If
비교 연산자를 통하여 특정 조건을 true 일 때 { } 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
if (true) {
//조건이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
}
조건문 - else
else문은 조건이 false일때 실행된다.
if (false) {
//조건이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
} else {
//만족하는 조건이 없을 때 실행되는 코드
}
조건문 - else if
else 와 비슷하나 처음 조건이 false일 때 다음 조건을 찾는다. 다음 조건에서 if와 마찬가지로 true, false를 확인하여 코드를 실행한다.
if (false) {
// 조건이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
} else if (false) {
// 첫번째 조건이 만족하지 않고 두번째 조건이 만족하면 실행되는 코드
} else if (false) {
// 두번째 조건이 만족하지 않고 세번째 조건이 만족하면 실행되는 코드
} else {
// 세번째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실행되는 코드
}
조건문 - switch
if문과 유사하나 if문의 일부분을 가지고 만든것.
특정 값을 대입하여 값이 일치할 때 실행되는 코드 케이스를 만들어 코드를 실행시킨다.
케이스별 코드 끝에는 break;를 넣어줘야 한다.
switch (조건식) {
case value1: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1일 때 실행되는 코드
break;
case value2: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2일 때 실행되는 코드
break;
default:
// 조건식의 결과 값이 위의 어떤 값에도 해당하지 않을 때 실행되는 코드
}
만약 case에 break;를 안 넣게 되면 다음 case가 자동으로 실행된다.
조건문 - 새로운 switch
기존 switch보다 좀 더 간결하게 코드작성을 할 수 있다.
int value = switch (조건식) {
case value1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1일 때 실행되는 코드;
case value2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2일 때 실행되는 코드;
default -> //해당하는 조건이 없을때 실행코드;
};
조건문 - 삼항연산자?:
단순히 참과 거짓으로만 특정값이 달라지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항이 세 개라 삼항연산자라 한다.
/*
(조건) ? 참_표현식 : 거짓_표현식
*/
switch문과 삼항연산자는 모두 if문으로 표현할 수 있다.
if문에 포함돼서 코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조건문이라 생각하면 된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3-12-12 (0) | 2023.12.12 |
---|---|
[TIL] Java 복습 - 반복문 while, for (0) | 2023.12.04 |
[TIL] Java 문법 복습 - 변수, 연산자 (2) | 2023.11.30 |
[TIL] 똥망... (0) | 2023.11.20 |
[TIL] JWT(JSON Web Token) (1)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