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문서가 제출되고 튜터님께서 피드백을 주셨다.
튜터님 피드백
로그인 페이지, 회원가입 페이지가 명세서에 있는데 구현하실 건가요?
구현하지 않을 거면 명세서에 없는 게 좋습니다.
Request값에 필드의 타입 ex. string, int 등을 추가하시면 좋습니다.
API문서만 보고 정확히 어떤 타입으로 보내야 하는지 등을 API의 사용자들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제 API문서 링크를 첨부합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rest-api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Response값에도 각 필드의 타입을 명시해 주면 좋습니다.
회원 정보 요청의 URL의 경우 /api/user-info인데 이미 user라는 키워드가 user에 대한 정보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info는 없어도 됩니다.
튜터님의 피드백에 따른 API 명세 수정
지금 이걸 쓰고 있는 시간에도 튜터님이 와주셔서 피드백을 해주셨다.
EDR을 쓰는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 주셨는데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는 이해했다.
기존의 우리의 EDR에서 Signup와 Login, Profile은 User와 관련이 있어 User로 통합하하고 연결관계에 대한 표시만 하면 될 것 같다.
EDR에 대한 표는 내일 추가해 넣겠다. ㅎㅎ
튜터님에게 질문
튜터님이 오셨을 때 갑자기 궁금한 게 떠올라 질문을 드렸다.
강의에서 jwt.secret.key를 애플리케이션 프로펄티스에 적어서 사용하던데 거기에 적는 jwt.secret.key값은 임으로 개발자가 적는 것인지 물어보았다.
튜터님의 답변은 내가 질문한 의도와 다른 부분을 알려주셨다..
내가 질문을 잘못해서 튜터님이 나의 질문의도를 잘못 이해한 거 같았다... ㅎㅎ
그래서 다시 물어보았고 임으로 작성하되 다른 사용자가 알면 안 된다고 하셨다.
중요한 보안키값이므로 다른 사용자가 알게 되면 보안이 뚫릴 수 있다는 내용의 답변이셨다.
튜터님이 어떻게 말하셨는지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난 위의 내용으로 이해했다.. ㅎㅎ
느낀점
이번 팀과제는 튜터님의 피드백을 통해서 좀 더 배우면서 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I인 나는 먼저 질문하러 가기가 왜 그리 힘든지.. 다음번엔 튜터님에게 먼저 가서 질문해 보아야겠다.
협업은 역시 소통이 중요한것같다.
소통이 안되면 힘들다. 협업은 소통이 생명이다. 소통소통소통!!
꼭 협업이 아니더라도 사람과의 소통은 참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오늘은 회원가입 부분 구현하고 커밋 후 자야겠다.
'내배캠_Spring _3기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Spring 팀과제) 뉴스 피드 프로젝트 만들기-4 (0) | 2023.11.27 |
---|---|
[프로젝트] (Spring 팀과제) 뉴스 피드 프로젝트 만들기-3 (0) | 2023.11.24 |
[프로젝트] (Spring 개인과제) ToDoParty 만들기 - 1 (0) | 2023.11.22 |
[프로젝트] (Spring 팀과제) 뉴스 피드 프로젝트 만들기-1 (3) | 2023.11.21 |
[팀과제] 팀프로젝트 키오스크 만들기 pull사용시 문제점 (1)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