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 Layer Architecture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아키텍처 패턴 중 하나다.
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세 가지 주요 계층으로 나누는 방법을 나타낸다.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계층.
주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력을 받는 역할을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웹 페이지 디자인 및 브라우저와 상호작용하는 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Business Logic Layer (비즈니스 로직 계층)
시스템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처리를 다루는 계층.
비즈니스 규칙, 데이터 처리, 유효성 검사, 데이터베이스 상호작용 등을 처리.
이 계층은 Presentation Layer와 데이터 저장소(Data Storage)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수행하며 비즈니스 로직의 구현과 관리에 중점을 둔다
Data Storage Layer (데이터 저장소 계층)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과 같은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담당하는 계층.
시스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검색, 업데이트, 삭제하는 역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며, 데이터 무결성 및 보안을 유지한다.
3 Layer Architecture를 사용하면 시스템을 각각의 계층으로 분리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계층은 다른 계층과 독립적으로 개발 및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팀원 간의 협업이 용이해진다.
이 아키텍처는 복잡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IoC Container와 Bean (0) | 2023.11.10 |
|---|---|
| [TIL] 제어의 역전 (Inversion of Control, IoC)와 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DI) (1) | 2023.11.09 |
| [TIL] 데이터 베이스 (0) | 2023.11.07 |
| [TIL] Spring MVC (0) | 2023.11.06 |
| [TIL] @Controller (0) | 2023.11.04 |